[청년결혼지원금 정책 소개]
안녕하세요, 오늘은 정말 의미 있고 따뜻한 소식을 전달하려고요.
충청북도에서 청년 신혼부부를 위한 결혼 지원사업을 본격 시행한다는 행복한 소식입니다.
곧 딸을 결혼시키는 부모 입장에서 정말 유용하고 감사한 정책이라
이렇게 블로그를 통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요즘 젊은 세대는 거창하고 비싼 결혼식보다는
작고 소박한 결혼식을 더 많이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 같더라고요.
하지만 작게 치르더라도 예식장, 드레스, 사진 등 기본적인 비용이 많이 들어
부모나 아이들이 부담을 느끼는 건 어쩔 수 없는 슬픈 현실입니다.
그런데 충북에서는 이런 시대적 흐름을 잘 반영해
작은 결혼식 실천 부부에게는 200만 원,
인구감소지역에 정착하는 부부에게는 100만 원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합니다.
이게 바로 제가 소개할 충북 작은 결혼식 및 인구감소지역 행복한 결혼지원금 제도입니다.
작은 결혼식, 부담 덜고 의미 최고입니다 (지원금 200만 원)
먼저 작은 결혼식 지원부터 알려드릴게요.
2025년 1월 이후 총비용 1,200만 원 이하의 간소화된 결혼식을 올리고
혼인신고를 마친 청년 신혼부부 100쌍에게
무려 200만 원을 드립니다.
지원대상은 어렵지 않습니다.
19~39세 청년 신혼부부, 부부 중 한 명 이상이 충북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되어 있으면 됩니다.
신청은 아주 편리하게도 충북 가치자람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충분합니다.
우리 아들도 이 조건에 딱 맞아서 바로 신청하려고 준비 중에 있어요.
"결혼식은 소박하게, 지원금은 든든하게" 정말 고마운 정책입니다.
인구감소지역 정착, 100만 원 추가 지원
여기에 우리 아들이 신혼살림을 시작하려는 곳은 괴산이라
인구감소지역 결혼지원금까지 해당됩니다.
지원대상 지역은 제천시, 보은군, 영동군, 괴산군, 단양군입니다.
이 지역들은 인구가 줄어들어 청년들의 정착을 돕기 위해
결혼한 청년 신혼부부 480쌍에게 추가 100만 원을 지원받아요.
연령 기준은 지역별로 조금씩 다른데요.
제천, 보은, 영동: 19~45세, 괴산, 단양: 19~49세
여기서는 온라인이 아니라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신청하여야 합니다.
우리 아들 부부는 작은 결혼식 지원금 + 인구감소지역 지원금해서
총 300만 원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정말 행복하고 든든합니다.
신청 기간과 추가 이벤트도 체크! 해보세요
신청기간: 2025년 5월 20일 ~ 12월 12일
작은 결혼식 → 가치자람 누리집 신청
인구감소지역 결혼 →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신청
여기에 보너스로 6월에는 청춘남녀 만남 행사(6월 28일 예정)도 열리고,
청년 네트워크를 돕는 청년 소셜링 프로그램도 운영한다고 합니다.
결혼 준비 → 결혼식 → 지역 정착 → 인적 네트워크까지
충북에서 결혼 후 생활 전반을 다 지원하는 느낌이에요.
결혼을 준비하는 부모로서 정말 고맙고 행복합니다.
솔직히 말해 결혼은 기쁘지만 부모나 아이 모두 부담이 큰 게 현실입니다.
이런 시기에 충북에서 청년 신혼부부들을 위한 실질적이고 따뜻한 정책을 만들어 도움을 주니
부모 된 입장에서는 정말 기쁘고 감사할 따름입니다.
이제 아들 부부도 걱정 없이
소박하고 의미 있는 결혼식으로 시작하고
충북에서 새로운 가정을 꾸려갈 수 있을 것 같아 든든합니다.
혹시 주위에 결혼을 앞둔 청년 자녀를 두신 부모, 형제, 지인분들이 계시다면
이번 충북 지원사업 꼭 알려주시면 좋아할 거 같아요.
"결혼도 정착도 모두가 함께라면 든든합니다."
좋은 정책이 하루빨리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지원금도 많이 올려줘서 걱정 없는 행복한 결혼,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건강한 나라가 되길 소망합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충청북도, 드론과 AI로 전한 아름다운 공림사 산사 이야기 (0) | 2025.05.03 |
---|---|
"2025년 우리 동네 땅값? ... 전국보다 덜 올랐지만, 충북도 조금 상승" (2) | 2025.05.02 |
“자연의 도시 괴산, 드론으로 본 김시민 장군 충민사” (10) | 2025.05.02 |
응급상황, 지갑 없이 병원 고! 고! (4) | 2025.05.02 |
충청북도 토지정보과, 레이크 파크 르네상스 기여로 메달 수상 (2) | 2025.05.01 |